물론이죠! 지금까지 진행한 작업들이 다른 사람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인수인계 형식으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kusmo
ROS 패키지의 센서 드라이버를 교체하고, 현재 사용하지 않는 노드를 정리했으며, 데이터 모니터링을 위한 신규 토픽을 추가했습니다.기존에 사용하던 RPLidar를 YDLidar로 교체함에 따라, kusmo.launch
파일의 라이다 구동 부분을 수정했습니다.
kusmo.launch
rplidar_ros
패키지의 rplidarNode
를 ydlidar_ros_driver
패키지의 ydlidar_ros_driver_node
로 교체했습니다.frame_id
)을 기존 TF 트리와 일치시키기 위해 **"laser"
*로 설정했습니다. 이로써 base_link
→ laser
로 정의된 Transform 관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현재 로봇 시스템에서 사용하지 않는 노드들을 kusmo.launch
파일에서 비활성화하여 리소스를 절약하고 코드의 명확성을 높였습니다.
laser_filter
노드 비활성화
laser_filters
패키지의 노드가 현재 필요하지 않아 주석 처리했습니다.rosserial
) 관련 노드 제거
rosserial_python
노드 3개가 발견되었습니다.rosserial_python
노드를 주석 처리했습니다.catkin_make
(또는 cm
) 실행 시 발생하던 컴파일 에러를 해결했습니다.
navstack/CMakeLists.txt
파일에 send_goal.cpp
파일을 이용해 send_goal
이라는 실행 파일을 만들도록 지시되어 있었으나, 실제 해당 .cpp
파일이 존재하지 않아 발생했습니다.send_goal
프로그램이 현재 필요 없는 것을 확인했습니다.navstack/CMakeLists.txt
파일에서 add_executable(send_goal ...)
관련 라인을 주석 처리하여 더 이상 해당 프로그램을 빌드하지 않도록 수정했습니다.